한자 포(浦)
// https://hanja.dict.naver.com/#/entry/ccko/d328cde1448f496b86f55a9d224f5655 ===================== 浦 포 개 포 부수 氵 [水,氺] (삼수변, 3획) 모양자 氵(삼수변 수) + 甫(클 보) 총획수 10획 획순보기 유니코드 U+6D66 뜻풀이부 획순보기폰트별 한자학습 정보단어·성어 1. 개(강이나 내에 조수가 드나드는 곳) 2. 물가(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) 3. 바닷가 4. (강이나 못의)수면(水面) 5. (물이)흐르다 출처 : ㈜오픈마인드인포테인먼트 획순보기 10획 획순보기 1획2획3획4획5획6획7획8획9획10획 폰트별 한자 폰트별 한자 대법원 지정 자형 폰트별 한자 한컴바탕확장 폰트별 한자 유니코드 폰트별 한자 함초롬바탕 한자는 이용 중인 기기의 폰트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. 상세보기 출처: ㈜오픈마인드인포테인먼트 학습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「자원(육서)」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형성문자 浦자는 ‘물가’나 ‘바닷가’를 뜻하는 글자이다. 浦자는 水(물 수)자와 甫(클 보)자가 결합한 모습이다. 甫자는 밭에 초목이 올라온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‘보→포’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. 浦자는 ‘물가’나 ‘바닷가’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, 엄밀히 말하자면 지류가 강이나 바다로 들어가는 곳을 뜻한다. 그러니까 육지에서 바다에 근접해 있는 장소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. 바다에 인접해 있는 포항시(浦項市)나 군포시(軍浦市)의 지명에 浦자가 쓰인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. 다만 浦자는 일부 지명을 제외하고는 우리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. 소전 해서 출처 : [한자로드(路)] 신동윤 | (삽화) 변아롱.박혜현 그림으로 배우는 한자 더보기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(氵(=水, 氺) ☞ 물)部와 음(音)을 나타내는 동시...